
2023년
디지털
분야
정책금융
자금지원
2023년 디지털 분야 정책금융 자금지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금융위원회 및 정책금융기관과 협력하여 디지털 분야 혁신기업에게 제공하는 지원사업입니다.

주요 내용
제공하는 지원사업
2023년 디지털 분야 정책금융 자금지원은 다음과 같은 지원사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원목적
담보능력이 부족한 디지털 분야 혁신기업에게 대출, 보증 등 정책금융 우대 혜택을 제공하여 기업의 성장을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AI, 데이터, 클라우드, SW, AI반도체, 미디어콘텐츠, 양자 등 9대 테마, 46개 분야, 284개 품목에 부합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입니다.

지원내용
금리우대·보증 우대 혜택을 제공합니다. 분야별로 지원규모와 조건이 다르므로 자세한 내용은 통합안내문2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디지털 분야 혁신기업들에게 기회
2023년 디지털 분야 정책금융 자금지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금융위원회 및 정책금융기관과 협력하여 디지털 분야 혁신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 금리우대: 정책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때 시장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분야의 경우 최대 2.5%의 금리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보증 우대: 서울신용보증재단이나 기술보증기금 등에서 보증을 받을 때 보증료율과 보증한도를 우대해줍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야의 경우 최대 0.5%의 보증료율 우대와 최대 10억원의 보증한도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분야: AI, 데이터, 클라우드, SW, AI반도체, 미디어콘텐츠, 양자 등 9대 테마, 46개 분야, 284개 품목에 대해 지원합니다.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적용분야와 혁신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간편한 신청: 신청서식을 작성하여 이메일로 접수하면 됩니다. 심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공동으로 진행하며, 심사결과는 약 2주 내에 통보됩니다.
디지털 분야 정책금융 자금지원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촉진하고, 디지털 혁신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유익한 사업입니다. 담보능력이 부족하거나 금융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디지털 분야 혁신기업들은 이 기회를 잘 이용하면 기업이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Written by Financial Hub
다른 글 보기
출산율, 걱정 안해도 되는 문제인가?
한국은 출산율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십 년 동안 한국의 출산율은 연간 출생아 수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2020년에는 합계출산율이 0.778명으로, 1970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출생아 수도 26만500명으로, 10년 전의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2022년 0.77명을 찍었고, 2023년에는 0.73명이 될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한국 출산율 저하 요인한국의 출산율 저하는 사회, 경제, 문화, 정책 등...
디플레이션 Deflation
디플레이션ꞏDeflation디플레이션(Deflation)은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물가가 하락하는 경기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inflation), 즉 가격 상승률이 양의 값을 가지는 상황과는 정반대의 개념입니다. 이는 동일한 화폐로 더 많은 상품 및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소비자에게는 가격이 떨어져 물가가 하락하면서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로 보일 수 있지만, 경제 전체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는 지난 20일 ‘흑연 관련 항목 임시 수출 통제 조치의 개선·조정에 관한 공고’를 발표함.중국은 오는 12월 1일 부터 고순도(순도 99.9% 초과)·고강도(인장강도 30Mpa 초과)·고밀도(밀도 ㎤당 1.73g 초과) 인조흑연 재료와 제품, 구상흑연·팽창흑연 등 천연 인상흑연과 제품을 수출 통제하며, 엄격한 허가절차를 통해서 수출을 허가 하겠다고 했습니다.중국은 군사용으로 사용될 여지가 있는 흑연을...
BIS 비율
국제결제은행이 설정한 지표BIS비율이란?BIS비율경제 뉴스나 금융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BIS비율이라고 있습니다. 과연 BIS비율이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BIS 비율은 은행의 자본 안정성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금융 지표 중 하나입니다. BIS는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의 약자로, 국제 결제 은행을 나타냅니다. 국제 결제 은행은 국제금융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 중앙은행과 다른 기관 사이의 협력을 증진시키는...
인플레이션 Inflation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무엇을 뜻하나?인플레이션 Inflation 인플레이션은 경제학 용어로, 일반적으로 가격 수준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양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데 필요한 돈이 점점 더 많아지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는 1,000원에 샀던 빵이 올해는 1,100원에 팔리고 있다면 이것은 인플레이션의 한 예입니다. 즉, 빵의 가격이 10% 상승하였다는 것은 빵에 대한 인플레이션률이 10%라는 것을...
GDP 국내 총생산
GDP 국내 총생산국내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텐데요, 이것은 한 나라의 경제 활동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GDP는 말 그대로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총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 때 '생산'이란 단어는 물리적인 제품 만들기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에도 해당됩니다.GDP 주요 구성 요소1. 소비 (Consumption): 이 부분은 개인 및 가정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나타냅니다....